분류 전체보기 27

종합소득세 최저한세 계산법과 법인세 최저한세 계산법

종합소득세 최저한세 계산법 과세표준금액에 세율 곱해서 나온 세금 즉 산출세액의 35%, 45% 곱한 게 최저한세다 예를 들면과세표준이 2억인 경우의 산출세액은 다음과 같다200,000,000 * 38%(23년 귀속 세율) - 19,940,000 = 56,060,000원 산출세액이 3천만원미만인 경우는 35%를 곱하고, 3천만원 초과분은 45%를 곱한다 위 경우 산출세액이 3천만원 이상이라 나눠서 계산을 해야 한다30,000,000 * 35% = 10,500,000(56,060,000 - 30,000,000) * 45% = 26,060,000 * 45% = 11,727,000 10,500,000 + 11,727,000 = 22,227,000 과세표준이 2억일 때, 최저한세는 22,227,000원이다. 결론..

최저임금 :: 과세급여만 최저임금에 포함되는가? 아니다!

https://blog.naver.com/serpcamp/223549926485 [경리업무 꿀팁] 2025년 최저 임금 | 식대, 각종 수당, 복리후생비 포함 여부안녕하세요, 누구나 쉽고 간편한 No.1 대표 경리회계 프로그램 AI경리나라입니다. 2025년 1월 1일부터 ...blog.naver.com  거래처에서 급여를 알려줄 때기본급 과세급여와 식대, 자가운전보조금등 비과세급여를 알려주는데기본급이 최저임금 이상이어야 되는지기본급과 식대, 자가운전보조금을 합친 금액이 최저임금 이상이어야 되는지 헷갈릴 때가 있다   경리나라가 정리해놓은 블로그포스팅을 보니과세급여여야지만 최저임금에 산입되는 게 아니닷  시간외수당은 과세급여이지만 최저임금에 산입하지 않고식대나 교통비는 보통 비과세급여인데 최저임금에 산입된당

공동사업자 폐업신고시 필요서류

왜 공동사업자 관련한 신고는 홈택스에서 안 되는 경우가 많을까그 중 하나가 공동사업자 폐업신고다 세무서에 폐업신고서랑 대표자 신분증만 들고 갔다가 빈손으로 돌아왔다  1. 폐업신고서 (공동 대표자 각각 개인인감을 날인해야 함)2. 동업해지계약서 (공동 대표자 각각 개인인감 날인해야 함)3. 공동 대표자 각각의 개인인감증명서4. 공동 대표자 신분증   요렇게 필요하다고 한다 거래처에 다시 요청해놨고, 또 세무서에 가야한다...!

D+1715 세무사사무실에서 일반기업으로 이직하기 어렵군

입사한지 벌써 1700일이 넘었다.내년 2월에는 만 5년이 된다.  세무 업무는 지금까지 경험해본 직무 중에 가장 잘 맞는 직무고,나름대로 업무는 괜찮다. 그러나 세무사사무실 업계 자체가 너무 박봉이고그에 비해 업무 강도가 낮은 편은 아니기도 하고일반 기업에서 자체 기장을 해보고 싶어서 이력서를 엄청 냈었다. 한 두곳에서 연락와서 면접을 봤었는데,경력직이라 그런지 분개나 법인세 조정 관련된 문제?를 내기도 했다.  나름대로 여기서 실력을 인정받았다고 생각했는데,몇몇 문제는 제대로 풀지도 못해서 현타가 왔었다.실력을 키우기 위한 공부를 해야될 것 같은데,어디서부터 어떻게 뭐부터 해야하나 싶다.  쨌든 일반기업으로 이직하기가 참 쉽지 않은 것 같다.경력직은 어쨌든 기본적으로 개대치가 있기 때문인 것 같기도 ..

개인사업자 공동대표 기간 및 지분율 확인하는 방법

개인사업자 공동대표 변경일과 지분율 확인하는 방법은홈택스 - 국세증명/사업자등록/세금관련 정정신고 - 확인 후 발급 증명 - 공동사업자내역요걸루 할 수 있다.  지분율은 직접 적어야 하고, 조사관이 확인한 다음에일자랑 지분율 확인해서 증명이 나오는 형태인 것 같다. 그래서 바로는 출력이 불가하고, 3시간 뒤 출력이 가능하다

[부가세] 부가세 예정고지 가산세는 일수 계산하는 거 아니다!

http://guide.taxmedicenter.com/27/?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556090&t=board 부가가치세 예정고지란? : 세무가이드 💡 부가가치세 예정고지란?개인사업자 또는 소규모 법인 납세자의 편의를 위해 예정신고를 생략하고 세무서장이 납부 세액을 고지하는 거예요.이때 고지되는 세액은 사업자의 직전 과세기간 guide.taxmedicenter.com 거래처에서 연락이 왔다 부가세 예정고지 납부를 못해서 가산세 붙여서 납부서 만들어 달라고. 나는 당연히 부가세 가산세 계산하듯이 0.022%에 일수 곱해서 납부서를 드렸는데 납부가 안된다고 다시 연락이 왔다. 알고봤더니 부가세 예정고지는 납부 ..

[원천세] 급여 일할계산 일급으로 계산해야 할까 시급으로 계산해야 할까

중도 입사자 혹은 중도 퇴사자가 발생한 경우에 급여를 일할계산해야 한다. 이럴 때 나는 보통 일급으로 계산을 했었다 예를 들면 10월 12일까지 근무했다고 한다면 월급 2,500,000원 / 31일 * 12일 => 967,741원 이렇게 했었는데 시급으로 해달라는 데도 있었고 해서 뭐가 맞는지 한 번 찾아봤다! 근데 일단 답이 없다가 정답이었다! 임금의 일할계산 방법에 대해서는 근로기준법령 등에 구체적으로 정해져 있지 않다고 한다!! 월급이 엄청 높으면 크게 상관없는데 거의 최저일 경우에는 일할계산을 일급으로 했을 때 시급으로 따지면 최저가 안 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데 그런 것 관해서는 분쟁의 여지가 있다고 한다..! 그래서 아예 근로계약서 상에 일급으로 계산할지 시급으로 계산할지 등등을 기재해 두는 ..

[부가세] 예정신고시 일반환급은 입금 안 된당

부가세 예정신고할 때 일반환급으로 자잘한 금액은 환급이 안되더라. 법을 찾아봤는데, 확정신고때 확정신고기한이 지난 후 30일 이내에 환급해야 한다고 한다. 일단 원칙은 확정신고 때 환급이 되는 것이고, 고정자산 취득이나 영세율 등 조기환급이 예외적인 경우에 해당한다! 예정신고시 일반환급 금액은 확정신고시 부가세 신고서 상에 "예정신고시 미환급세액"에 반영해야 한다 * 부가가치세법 제59조 1항

[부가세] 영세법인은 이제 예정신고 없이 예정고지 납부하면 된다

법인은 연에 총 4번 부가세 신고를 하고, 개인은 연에 총 2번 부가세 신고를 한다. 그대신 개인업체는 4월 10월에 부가세 예정고지 세액을 납부 해야한다. 부가세 예정고지 세액은 전기의 반을 내는데, 예정고지로 납부할 세액이 50만원 미만이면 면제가 된다 개인업체만 이런 예정고지가 적용됐었는데, 20년도 즈음에 영세한 법인도 예정신고 없이 예정고지 납부하는 걸로 변경됐다. 영세법인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직전 과세기간 공급가액의 합계액이 1억5천만원 미만인 법인사업자! * 부가가시세법 제48조 3항 * 부가가시세법 시행령 제90조 제4항

D+971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금 받았습니당 :->

입사한지 2년이 훌쩍 넘었다 입사하고, 6개월 안에 청년내일채움공제를 신청할 수 있는데 나는 딱 입사 후 6개월 즈음에 신청을 할 수 있었다 왜냐하면 내가 2월 말에 입사했는데 그 때부터 세무사사무실은 바쁘기 때문이다 정신이 없어서 계속 신청서류 등을 준비해주지 않으셨었다.. 여튼 어렵사리 신청해서 지난 8월 20일경 만기가 됐다 * 22.08월 중순경 만기 하지만 마지막 서류를 제출해야 하는데 그 서류 중에 8월 월급 이체증이 있다 8월 월급이 말일에 들어오니깐 9월 초에나 서류를 제출할 수가 있었다 * 22.09월 초 마지막 서류 제출 그래도 하반기는 덜 바빠서 바로바로 서류를 준비해서 운영기관에 보냈다 하지만... 지난 5월에 내가 다니는 사무실이 이전하면서 상호도 변경하는 바람에 9월 말에 다시 ..